CS/알고리즘
빅 오(Big - O) 표기법 이란?
빅 오(Big - O) 표기법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나타내는 표기법으로 쉽게 말하면 알고리즘 효율성을 표기해주는 표기법이다. 알고리즘 효율성은 데이터에 대한 연산 횟수를 의미하며, 빅오뿐만 아니라 빅 오메, 빅 세타가 표기법도 존재한다. 점근 표기법 빅 오 표기법(Big-O) O(n) -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상한(上限: upper bound)값 - 최악의 경우를 표현 (worst case) 빅 오메가 표기법(Big-Omega) Ω(n) -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하한(下限: lower bound) 값 - 최고의 경우를 표현 (best case) 빅 세타 표기법(Big-Theta) θ(n) -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상한 과 하한의 교집합 - 평균의 경우를 표현 (average case) * ..
2022. 1. 4.